관리 메뉴

마음이 비에 젖다~

삽살개는 '귀신 쫓는 개'로 우리 민족의 '벽사진경의 수호견'으로 함께 해왔습니다. 본문

삽살개 와 진돗개 네눈박이/삽살개 누리 (뚱이)

삽살개는 '귀신 쫓는 개'로 우리 민족의 '벽사진경의 수호견'으로 함께 해왔습니다.

태풍노을 2018. 9. 3. 16:51

제가 키우는 삽살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삽살개는 천연기념물 제368호입니다.

제가 키워본 삽살개의 특징은 대단히 영리하고 사람과 잘 따릅니다.

다른 개들에 비해 발도 뭉퉁하여 발에 밝혀도 아프지가 않습니다.



삽살개는 '귀신 쫓는 개'로 우리 민족의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수호견'으로 함께 해왔습니다.

벽사진경(辟邪進慶) -사귀를 쫓고 경사로운 일을 맞이함


'삽살'은 귀신이나 액운을 쫓는다는 뜻을 지닌 '삽(쫓는다. 들어내다)'과 '살(귀신, 액운)'이 합쳐진

순수 우리말로 '귀신 쫓는 개'라는 뜻의 삽살개는 2천년 동안 우리 민족의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수호견으로 함께 해왔습니다. '삽살개 있는 곳에는 귀신도 얼씬 못한다'라는 말이 

예로부터 널리 알려져 오고 있습니다.


한반도에 널리 서식하던 삽살개는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등장하고 있으며, 

고대 신라 때부터 왕실과 귀족사회에서 길러져 오다가 통일신라가 멸망하면서

민가로 흘러나와 고려나 조선 시기에는 대중적인 개가 되었다는 것이 정설로 통합니다.


신라 고승 김교각 스님이 삽살개 선청이와 함께 당나라로 건너가 고행 했다는

중국의 안훼이성에서는 삽살개를 타고 있는 지장보살도와 삽살개 선청 동상이

세워져 수호신으로 추앙 받고 있으며, 신라 김유신 장군이

군견으로써 싸움터에 데리고 다녔다고 하는 속설은 삽살개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유명한 이야기들입니다.


조선의 개 그림 중에는 삽살개 그림들이 여러 점 전해지고 있는데,

영모화나 민화의 문배도 또는 이름난 문인 화가들에 의해 그려진 품격 높은

수묵화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그 중 조선의 천재화가 장승엽이 그린 오동나무 아래에서 짖고

있는 삽살개 그림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삽살개는 여러 한시, 소설, 민요에서도

민족의 정서와 함께하며 오랜 세월

우리민족과 더불어 애환을 같이 해온 우리의 토종견입니다.



출처 - 재단법인 한국삽살개재단



Comments